Tweet |
아시는 이야기이겠지만, 80:20 법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80:20법칙은 일명 파레토의 법칙이라고도 하며,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전체 고객 중 20%의 고객이 전체 매출의 80%에 해당하는 만큼 매출을 일으키고 나머지 80%가 20%의 매출을 일으킨다는 법칙으로 상당히 많은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시장의 중심이 소수(20%)에서 다수(80%)로 옮겨가고 있다"며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이를 요즘 시쳇말로 '롱테일(Long Tail)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인터넷 서점 아마존이 매출의 절반을 비인기 서적에서 올린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발달로 파레토 곡선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았던 긴 꼬리 부분에서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으로 인해 유통비용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잠시 주제를 좀 벗어난 것 같은데, 제가 하려는 이야기가 롱테일(Long Tail)는 아니므로 다시 파레토 법칙으로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파레토 법칙"을 적용해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실제로 이 "파레토 법칙"를 적용해 보시면, 그 놀라운 힘에 대해서 많은 것을 느끼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자연스럽게 적용이 되고, 현상에 대해 설명을 잘 해주시니까요? 하지만, 혹시 "파레토 법칙"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보신 적은 있으신지요?
모든 법칙에 예외가 있듯이 "파레토 법칙"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 하나의 법칙을 너무 원리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문제가 생긴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제가 아주 단순한 예를 든다고 하면, 신제품 개발이나 신제품 판매를 들 수 있을 수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 전체의 제품에 대해 80:20의 법칙을 적용해보면, 주요 제품인 20%가 전체 매출의 80%을 차지하고 있는다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시점차이는 있겠지만, 신제품인 경우에는 회사의 수익기여에 주요한 80%가 아닌 나머지 20%에 포함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20%의 상품을 중심으로 판매나 마케팅 전략을 추구하게 되면, 당장의 cash flow나 수익성에는 좋을지는 몰라도 머지않은 미래에 회사가 다시 문제에 빠지게 됩니다. 다시말해 개발되는 제품 중 20%만이 매출의 80%을 만들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익성을 위해서 제품개발을 중단하면 미래의 제품개발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MBA나 컨설턴트들이 많이 사용하는 툴 중 하나인 BCG Matrix 상의 cash cow만을 추구하면 star나 물음표에 속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문제가 된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최근에 모 회사(우리나라 회사에서 꽤 상위에 속하는 회사)에서 컨설팅을 받으면서 이와 비슷한 문제를 겪었기 때문입니다. 해당 회사의 경영개선을 위해서 모 컨설팅 회사(모든 사람들이 알만한 굉장히 유명한 글로벌 전략컨설팅 회사여서 저도 황당했습니다. ㅠㅠ)를 고용했는데, 해당 컨설팅사에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각 사업별 자산배분에 따른 수익성 전략을 전개하면서 저지른 실수이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회사에 대한 모델에 대해서 좀 더 추가적으로 설명을 드리겠지만, 실전을 많이 겪어보지 못한 컨설턴트들이나 저지를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어떤 생각으로 그런 전략을 무식하게 추진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러므로, 어떤 법칙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실 때는 그대로 적용하지 마시고, 그 원리가 가지고 있는 어떤 부작용(Side Effect: 항상 나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분들이 그렇게 느끼시는 단어인 것 같습니다.)에 대해서 반드시 확인하고 적용해 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주변에 컨설팅 경험이 많은 분이 있다면 그분들과도 꼭 이야기를 나누어보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파레토 법칙(80:20의 법칙)
예를 들어 전체 고객 중 20%의 고객이 전체 매출의 80%에 해당하는 만큼 매출을 일으키고 나머지 80%가 20%의 매출을 일으킨다는 법칙으로 상당히 많은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시장의 중심이 소수(20%)에서 다수(80%)로 옮겨가고 있다"며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이를 요즘 시쳇말로 '롱테일(Long Tail)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인터넷 서점 아마존이 매출의 절반을 비인기 서적에서 올린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발달로 파레토 곡선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았던 긴 꼬리 부분에서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으로 인해 유통비용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잠시 주제를 좀 벗어난 것 같은데, 제가 하려는 이야기가 롱테일(Long Tail)는 아니므로 다시 파레토 법칙으로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파레토 법칙"을 적용해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실제로 이 "파레토 법칙"를 적용해 보시면, 그 놀라운 힘에 대해서 많은 것을 느끼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자연스럽게 적용이 되고, 현상에 대해 설명을 잘 해주시니까요? 하지만, 혹시 "파레토 법칙"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보신 적은 있으신지요?
모든 법칙에 예외가 있듯이 "파레토 법칙"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 하나의 법칙을 너무 원리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문제가 생긴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제가 아주 단순한 예를 든다고 하면, 신제품 개발이나 신제품 판매를 들 수 있을 수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 전체의 제품에 대해 80:20의 법칙을 적용해보면, 주요 제품인 20%가 전체 매출의 80%을 차지하고 있는다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시점차이는 있겠지만, 신제품인 경우에는 회사의 수익기여에 주요한 80%가 아닌 나머지 20%에 포함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20%의 상품을 중심으로 판매나 마케팅 전략을 추구하게 되면, 당장의 cash flow나 수익성에는 좋을지는 몰라도 머지않은 미래에 회사가 다시 문제에 빠지게 됩니다. 다시말해 개발되는 제품 중 20%만이 매출의 80%을 만들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익성을 위해서 제품개발을 중단하면 미래의 제품개발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MBA나 컨설턴트들이 많이 사용하는 툴 중 하나인 BCG Matrix 상의 cash cow만을 추구하면 star나 물음표에 속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문제가 된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최근에 모 회사(우리나라 회사에서 꽤 상위에 속하는 회사)에서 컨설팅을 받으면서 이와 비슷한 문제를 겪었기 때문입니다. 해당 회사의 경영개선을 위해서 모 컨설팅 회사(모든 사람들이 알만한 굉장히 유명한 글로벌 전략컨설팅 회사여서 저도 황당했습니다. ㅠㅠ)를 고용했는데, 해당 컨설팅사에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각 사업별 자산배분에 따른 수익성 전략을 전개하면서 저지른 실수이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회사에 대한 모델에 대해서 좀 더 추가적으로 설명을 드리겠지만, 실전을 많이 겪어보지 못한 컨설턴트들이나 저지를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어떤 생각으로 그런 전략을 무식하게 추진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러므로, 어떤 법칙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실 때는 그대로 적용하지 마시고, 그 원리가 가지고 있는 어떤 부작용(Side Effect: 항상 나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분들이 그렇게 느끼시는 단어인 것 같습니다.)에 대해서 반드시 확인하고 적용해 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주변에 컨설팅 경험이 많은 분이 있다면 그분들과도 꼭 이야기를 나누어보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컨설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영리조직/법인의 기업구조 모델(Enterprise Structure Model) (1) | 2007.04.30 |
---|---|
기업구조 모델(Enterprise Structure Model)과 조직구조 (2) | 2007.04.30 |
이런 상사가 부하의 창의력을 죽인다 -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0) | 2007.04.22 |
Web 2.0: 아마추어 vs. 전문가 (6) | 2007.04.19 |
Web 2.0: 한국에서의 Long Tail은 존재하지 않는다. (6) | 200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