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et |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라는 질문을 책의 제목에서부터 던진 저자는 책의 곳곳에서 끊임없이 질문을 던집니다.
“과연 일이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어떤 분들에게는 단지 생계를 위해서 어쩔 수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어떤 분들은 일을 자신을 수양하는 한 방편으로 택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어떤 선택을 하던 그 모든 것은 자신의 책임이고,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책을 읽는 내내 이런 질문을 골똘히 생각하면서 제 인생을 반추해 봤습니다. 하루하루를 그냥 별 생각 없이 지내온 적도 많아서 제 인생에 대해 제 스스로 많은 부끄러움을 느꼈습니다. 자신을 늘 깨우면서 살기보다는 그냥 남들 하는 대로 편안한 것만을 추구하면서 살아왔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일을 통해 자신을 보다 성숙하게 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자신을 완성하는 하나의 방편이자 단순한 물질적인 보상만이 아닌 일에 대한 성취감 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을 하면서 자아를 완성한다는 말은 어쩌면 너무나 이상적인 것 같기도 하지만, 돌이켜보면 제가 일을 처음 시작할 때 일에 대한 느꼈던 막연한 생각이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간 일을 하면서 느껴야 하는 너무나도 당연한 이 느낌을 너무 오랫동안 잊고 지내기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평생 해야 하는 일에서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자신의 인생이 대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불안과 의문을 갖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일은 인생 그 자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에서 삶의 보람을 찾지 못한다면 인생 또한 의미가 없어진다. 일은 인간성을 심화시켜주고 인격을 고양시켜준다. 일은 인간을 연마하는 것, 영혼을 연마하는 것이다.
- 본문 25-26p 중에서
추신: 책을 읽는 내내 저자가 유교사상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올 휴가기간 동안 본 "유교, 2500년의 여행"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영, 유교를 만나다
혹시라도 이 책을 보실 분이 있다면 시간을 내셔서 관련 영상을 먼저 보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문화 이야기 >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외수님의 "공중부양"을 찾습니다 (13) | 2007.10.20 |
---|---|
입사 3년 안에 꼭 알아야 할 75가지 (11) | 2007.10.19 |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7) | 2007.10.17 |
카네기 인간관계론 (4) | 2007.10.12 |
문화와 경영 (6) | 2007.09.18 |
재미이론 (10) | 2007.09.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책에 대한 소개글을 읽고 덧글달기는 참.. 부족합니다만,
2007.10.18 19:07생각나는 것이 있어서요.
일을 통해 수양을 한다는 것.. 과거 일본인들의 사상이었죠.
그래서 일본인들은 일벌레라고 불릴 정도로 일이 삶이었습니다.
시대가 바뀌어서 일본도 달라졌고, 이 사상도 통하긴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하는 일에 가치를 두고 소중히 하는 자세만큼은 좋은 것 같습니다.
그간 잘 계시죠? 얼굴 뵐 일이 많지 않네요...
2007.10.18 19:13 신고아직 인생을 오래 살아보지 않아서 잘 모르지만, 일을 통해 자신을 수행한다는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많이 공감이 되는 것 같습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음...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 좋은 책을 만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7.10.19 20:44그리 분량이 많지않으니 작심하고 읽으시면 오래 걸리지 않을 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2007.10.20 11:26 신고트렉백타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2007.10.20 12:00덕분에 좋은 프로그램도 알고 갑니다. 꼭 봐야 겠는데요..
경영과 유교에 관심이 많으시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2007.10.20 12:46 신고작년에 저도 읽었던 책이네요.^^ http://janghp.tistory.com/387
2010.05.20 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