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et |
“내가 이런 툴을 다 배우고 나면 과연 컨설팅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 말입니다. 제가 컨설팅을 처음 배울 때보다 지금은 더 많은 컨설팅 툴이 더 나왔을 수 있지만, 당시에는 대략 컨설팅 관련 툴이 500~700여 정도 있다고 했으니, 하루에 하나씩 공부한다면 – 거의 불가능한 일이긴 하지만 – 대략 2년여 정도면 다 배울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 공부를 시작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제가 생각한 문제가 계속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것이 다 근원이 있는 것처럼 컨설팅도 가장 원류가 되는 기술이 있을 것이라고 아주 소박한 생각을 했고, "그런 기술이 과연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저 나름대로 자료를 보고 정리하다 보니 다음과 같이 3가지의 기본 기술로 정의된 것 같습니다.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Fact-based Thinking
하지만, 컨설팅의 가장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사람마다 정의하는 바가 달라서 제가 정의한 것이 다 맞지도 않을 것이고 또 이런 저의 생각에 동의를 못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진정한 컨설팅을 위한 기본적인 사고냐 하는 것에는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드리는 이야기는 저만의 생각이고 다른 생각이 존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들어주셨으면 합니다.
제가 컨설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고 중 첫 번째는 Creative Thinking입니다. 흔히들 컨설팅에서 Out-of-Box Thinking이라고 불리는 사고인데, 기존의 사고를 깨는 사고의 접근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일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컨설팅도 계속하다 보면, 그 문제가 그 문제가 같고 해서 그냥 비슷한 해결책만을 무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 지향적인 사고방식이 대부분 옳을 때가 많긴 하지만, 새로운 사업을 전개하는 신 사업전략을 수립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특히나 이 방식은 저와 같이 좌뇌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평상 시 사용하지 않는 우뇌를 사용하는 사고방식이어서 굉장히 어렵게 느껴지는 사고방식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저에게는 예술가의 기질이 없는 것 같습니다... ^^)
논리적인 사고를 수렴적 사고라고 하는 반면, 이러한 사고방식을 또한 발산적 사고라고 하는데,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데 주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컨설팅에서는 이런 사고를 하기 위해서 몇 가지 툴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도와주는 컨설팅 툴로는 브레인 스토밍, SCAMPER, TRIZ 등이 있습니다. 물론, 툴을 공부하신다고 해서 이런 사고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까지 툴의 도움을 받아서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으니 굳이 외면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부분은 Logical Thinking이라고 불리는 논리적 사고인데, 우리가 학교교육을 통해서 꽤 오랫동안 배웠던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교에서 물리나 수학을 배우는 이유가 바로 논리적 사고를 증대시키기 위해서인데, 아마 컨설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컨설팅에 처음 입문해서 제일 먼저 배운 툴이 Logic Tree, Issue Tree 등 이었는데, 바로 이 부분이 가장 기초적인 논리적 사고의 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를 합리적으로 생각해서 정리하고 해결해가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act-based Thinking을 둘 수 있는데, 말 그대로 사실에 근거한 사고를 하는 것입니다. 보통 컨설팅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그냥 푸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관점에서 MECE(Mutually Exclusive Cumulatively Exhaustive)로 분해하고 나서 각 소 단위 별로 접근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각 소단위를 하나의 가정으로 보고 이를 증명하게 됩니다.
Fact-based Thinking은 이런 때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 자신의 주장이나 가정에 대해서 합리적인 근거를 세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의 가장 어려운 부분은 다양하고 많은 주장이나 사실 중에서 어떤 것을 취사선택하느냐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료조사를 해보면, 자신의 주장을 뒷밭침하는 자료도 찾을 수 있고, 그 반대되는 자료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그냥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는 자료만을 선택해서 채택할 경우 논리적으로는 맞을지 모르나, 실제 비즈니스 상에서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설명을 드린 기술만을 익혀서 컨설팅을 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겠지만, 외부에서 보는 바와 다르게 이런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기술들이 생각 외로 훨씬 요긴하게 쓰인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따라서, 이런 부분을 잘 읽히고 수련을 하신다면, 화려한 프리젠테이션이나 뛰어난 화술이 없어도 고객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컨설턴트가 될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컨설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각네 야채가게 SAP를 도입하다... (18) | 2007.06.29 |
---|---|
컨설턴트를 위한 3가지 지침 (6) | 2007.06.29 |
컨설팅의 3가지 사고방식 - Creative, Logical and Fact-based Thinking (2) | 2007.06.28 |
RSS의 미래모습 - Interactive RSS (12) | 2007.06.22 |
IT 면접 질문 - 여러분은 어떤 질문이 가장 어려우신가요? (4) | 2007.06.20 |
맞아 죽을 각오를 하고 쓴 애드센스 이야기 (40) | 2007.06.20 |
TAG Basic Skill,
Creative Thinking,
Fact-based Thiking,
Logical Thinking,
기본기술,
논리적 사고,
사실에 기반한 사고,
창조적 사고,
컨설팅
댓글을 달아 주세요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2007.06.29 00:37 신고현재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작은 태글 - 좌뇌와 우뇌가 바뀌었어요 ^^
지금 보니 제가 반대로 썼네요... ㅠㅠ 지적 감사합니다... ^^
2007.06.29 07:53 신고